신재생에너지 프로젝트 승인 증가, 노동당 정부의 청정에너지 확대 정책에 탄력 붙었음을 보여줘
영국, 재생에너지 발전 허가 역대 최대 규모…청정전환 가속 신호
올해 2분기, 영국에서 재생에너지 발전 시설에 대한 계획 승인 규모가 사상 최대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노동당 정부가 추진 중인 청정에너지 정책이 점차 동력을 얻고 있음을 보여준다.
파이낸셜타임스(FT)가 영국 정부가 21일 공개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번 분기 새롭게 허가된 재생에너지 용량은 총 16.1GW, 323개 프로젝트에 달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195% 증가한 수준이다.
정부는 2030년까지 영국의 전력 생산 중 95%를 무탄소로 전환하겠다는 목표를 내세우고 있어 이번 승인 확대를 환영하고 있다. 다만, 실제 건설로 이어지기까지는 송전망 연결 지연과 지역 주민들의 법적 반대가 여전히 걸림돌로 작용한다.
신속화되는 인허가 절차와 제도 개혁 움직임
노동당 정부는 출범 이후 인허가 절차를 간소화하고 속도를 높이기 위해 착수했다. 에너지 장관 에드 밀리밴드는 취임 직후 여러 태양광 발전소 승인을 내주었고, 영국 대표 풍력 개발사인 SSE도 지난달 스코틀랜드 연안에서 추진 중인 버윅 뱅크 해상풍력 프로젝트를 스코틀랜드 정부로부터 승인받았다.
또한 재철 리브스 재무장관은 환경 문제를 이유로 개발을 어렵게 막을 수 없도록 법·제도 개편을 검토하는 등, 정부가 해당 시스템을 대대적으로 손보려는 의지를 드러냈다.
배터리 저장 설비도 급증
재생에너지 확대와 함께 전력 공급의 간헐성을 보완하기 위한 대규모 배터리 저장소 인허가도 크게 늘었다. 2025년 4~6월 사이 영국에서 접수된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 관련 신청 건수는 100건을 넘어섰으며, 총 8.4GW 규모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두 배 이상 많은 수치다.
정부는 청정에너지 목표 달성을 위해 2030년까지 약 23~27GW의 저장 용량이 필요할 것으로 추산한다. 현재 설치된 규모는 약 6GW에 불과하다. 눈에 띄는 점은 지난 1년 동안 들어온 저장설비 개발 신청만 400여 건에 달하며, 총 규모가 30GW에 이른다는 것이다.
에너지 담당 장관 마이클 섕크스는 FT와의 인터뷰에서 “저렴한 재생에너지를 필요할 때 쓸 수 있도록 해주는 배터리 저장은 핵심적”이라며, “관련 프로젝트 증가가 업계가 정부의 계획을 지지한다는 신호이며, 화석연료 의존도를 줄이고 에너지 안보를 강화하며 장기적으로 전기요금 인하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투자 매력 높아지는 배터리 시장
분석가들에 따르면 영국의 전력시장 구조, 풍력과 태양광 확대, 최근 몇 년간 중국발 공급으로 인한 배터리 가격 하락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투자 매력이 커지고 있다.
스톤헤이븐의 아담 벨은 “재생에너지가 차지하는 비율이 높아질수록 가격 차이를 활용할 ‘차익거래 기회’도 커진다”며, “배터리 가격이 낮아진 만큼 투자에 뛰어드는 기업이 줄을 잇고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발전소나 풍력·태양광 단지와 함께 설치되는 배터리 프로젝트는 시각적 영향이 적어 지역 사회 반발이 덜하다는 이유로 인허가가 상대적으로 수월하다. 개발사 케어(Qair)의 운영책임자 리암 켈리는 “배터리는 이른바 ‘낮은 가지의 열매’”라며, “풍력이나 태양광보다 훨씬 통과하기 쉽다”고 말했다.
시장 성장세도 뚜렷하다. 리서치 기관 코넬 인사이트(Cornwall Insight)에 따르면 영국의 배터리 저장소 운영 수익은 2025년 1월 기준 메가와트당 연 9만2천 파운드로, 불과 1년 만에 네 배 급등했다. 이는 전력망 안정화 서비스 수요 급증의 결과다.